Knowledge: 지식/고사성어

조삼모사(朝三暮四) 뜻, 유래, 영어로, 반대 고사성어

l도라에몽l 2025. 4. 7. 23:08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조삼모사(朝三暮四) 뜻, 유래, 영어로, 반대 고사성어


✅ 조삼모사(朝三暮四) 뜻

**조삼모사(朝三暮四)**는
**“아침에 셋, 저녁에 넷”**이라는 뜻으로,
겉보기에는 달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같은 것을 속임수로 꾸며 사람을 속이는 행위를 비유합니다.

  • 朝(아침 조), 三(셋 삼)
  • 暮(저녁 모), 四(넷 사)

👉 눈속임이나 말장난으로 사람을 현혹시키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Z

반응형

✅ 조삼모사 유래

출처: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옛날 송나라에 원숭이를 많이 키우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먹이로 주는 도토리가 부족해지자, 원숭이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앞으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줄게.”
→ 원숭이들: 화남 😠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 줄게.”
→ 원숭이들: 기쁨 😄

※ 결국 도토리 총량은 하루 7개로 똑같았지만, 표현을 바꾼 것만으로 반응이 달라졌다는 이야기입니다.


✅ 조삼모사 현대 적용 사례

적용 상황 예시 문장

정치 “정책은 바꾸지 않으면서 포장만 바꾸는 조삼모사식 발표였다.”
마케팅 “조건을 살펴보면 결국 조삼모사다. 소비자만 손해다.”
대인관계 “약속을 살짝 바꿔놓은 조삼모사 태도에 실망했다.”

✅ 조삼모사 영어로

영어 표현 의미

A distinction without a difference 실질적 차이 없는 구분
Sleight of hand 손재주, 속임수
Playing with words 말장난

✅ 유사 고사성어

고사성어 의미

欺世盜名 (기세도명) 세상을 속이고 이름을 훔침
指鹿爲馬 (지록위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 억지 주장
朝令暮改 (조령모개) 아침에 명령하고 저녁에 고침
空言無補 (공언무보) 빈말은 도움이 안 됨

✅ 반대 의미의 고사성어

고사성어 의미

表裏如一 (표리여일) 겉과 속이 같음
言行一致 (언행일치) 말과 행동이 일치함
信而有徵 (신이유징) 믿을 만하고 증거가 있음
誠實無僞 (성실무위) 거짓 없이 참되고 성실함
SMALL

✅ 실행 원칙

  • 사람을 현혹하는 포장보다 본질에 집중하기
  • 겉과 속이 다른 태도를 경계하기
  •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판단하기

✅ 마무리 정리

  • 조삼모사 뜻: 본질은 같으나 말장난으로 사람을 속이는 행위
  • 유래: 『장자』에 나오는 도토리 이야기
  • 영어 표현: Sleight of hand, A distinction without a difference
  • 유사 고사성어: 지록위마, 조령모개
  • 반대 고사성어: 표리여일, 언행일치
  • 핵심 메시지: 현혹되는 것이 아니라, 본질을 꿰뚫어 보는 눈이 중요하다

키워드
조삼모사 뜻, 조삼모사 유래, 조삼모사 영어로, 조삼모사 예문, 말장난 고사성어, 장자 제물론, 지록위마, Sleight of hand, 조삼모사 반대말


다음 사자성어도 이어서 정리해드릴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