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사성어유래 2

[고사성어]가계야치(家鷄野雉)의 의미와 유래

재미있는 고사성어, 고사성어 뜻, 의미, 유래 오늘의 고사성어는 가계야치(家鷄野雉)입니다. 가계야치(家鷄野雉)집 가家 닭 계鷄 들 야野 꿩 치雉 의미가계야치는?한자 의미 그대로는 집에서 기르는 닭과 산의 꿩을 뜻하는 것으로, 자기 집의 것은 하찮게 여기고 남의 집의 것만 좋게 여김을 비유하는 말입니다.집에서 기르는 닭과 산의 꿩인데, 의미가 참 재미있죠? 이런 고사성어가 어떤 일화에서 유래했는지 알아볼까요?  유래이 성어는 중국의 진나라에는 유명한 서예가 왕희지( 王羲之)와 유익(庾翼)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중국 진나라 장수(將帥) 유익은 글씨를 잘 쓰기로 유명하였습니다.유익의 서법은 명필로 유명한 서예가인 왕희지의 서법과 견줄만하여 이름을 나란히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유익에게 서법을 배우고싶어 전국..

[고사성어]각주구검(刻舟求劍)의 의미와 유래

재미있는 고사성어, 그 의미와 유래 오늘의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劍)새길 각(刻) 배 주(舟) 구할 구(求) 칼 검(劍) 각주구검, 세번이나 날려버렸네요; 그래서 고사성어 업데이트가 늦었습니다.각선구검(刻船求劍)과 각주방검(刻舟訪劍)과도 같은 말입니다.  정의한자어 의미 그대로 풀이하면 배에 새겨 놓고 검을 찾는다는 뜻입니다.이 고사성어는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를 때 사용합니다.미련하고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할 때 각주구검이라합니다. 유래각주구검이라는 고사성어는 여씨춘추*의 찰금편에 기록되어있는 한 젊은 검객의 일화에서 유래되었습니다.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한 젊은 검객이 자신이 매우 소중히 여기는 검을 가지고 양..

728x90
반응형
LIST